본문 바로가기

사투리

“게헤 있느냐?” ― 우리말 속에 살아 있는 범어(梵語)의 뿌리 “게헤 있느냐?” ― 우리말 속에 살아 있는 범어(梵語)의 뿌리김석훈 ㅣ 우리말 뿌리연구가, 『우리말 범어사전』 편저자사극을 보면 길가는 선비가 어느 집 대문 앞에서“게헤 있느냐! 게헤 없느냐!” 하고 외치는 장면이 있다.이 낯익은 말 속에는 단순한 ‘옛 표현’을 넘어수천 년 전 인류 언어의 흔적과 철학이 숨어 있다. 1. ‘게헤(gehe)’ ― 집(家), 몸, 그리고 삶의 근원‘게헤’는 산스크리트어 **geha(게하)**에서 온 말이다.이 단어는 **‘집’, ‘거처’, ‘몸의 거주지’**를 뜻하며,단순히 사람이 머무는 공간이 아니라영혼이 머무는 그릇, 삶의 중심이라는 철학적 의미를 품고 있다. geha = house, dwelling, habitation, family life즉 “게헤 있느냐”는 단순.. 더보기
왕과 여왕의 언어가 남도 사투리 속에 살아 있다 왕과 여왕의 언어가 남도 사투리 속에 살아 있다― “어이 마히시, 애마리요, 아이마다”의 비밀전남 고흥의 한 시골마을.밭에서 일하던 아버지는 아내를 향해 “어이 마히시(여왕님, 가까이 오시게)” 하고 부르셨다.어머니는 미소 지으며 “애마리요(왕이시여)”라고 대답하셨다.그리고 마당에서 아이들을 부르실 때는 “아이마다(내 사랑, 꿀, Honey) 이리 오너라!” 하셨다. 언뜻 보면 단순한 옛말 같지만, 『우리말 범어사전』에 따르면 이 말들 속에는 놀라운 언어의 유산이 숨어 있다.‘마히시(mahiśī)’는 산스크리트어로 ‘여왕’, ‘왕후’를 뜻한다.‘아마루(amaru)’는 ‘왕’의 이름이자 ‘군주의 칭호’이며,‘마다(madā)’는 ‘꿀’, ‘아름다운 대상’, ‘황홀’, ‘열정’을 의미한다. 즉, 남도의 평범한.. 더보기
김석훈 《우리말 범어사전》 서문 요약 해설 🌿 우리말의 깊은 뿌리, 범어(梵語)에서 다시 피어나다― 김석훈 《우리말 범어사전》 서문 요약 해설 1️⃣ 고흥에서 들은 말 속의 비밀저자 김석훈은 남도 고흥에서 태어났습니다.어릴 적 마을 어른들이 쓰던 말 중에는 뜻을 알기 어려운 단어들이 많았습니다.고양이를 ‘쌔까마’ 또는 ‘쌔깨미’라 불렀고,남편과 아내가 서로를 부를 때 “마히시(여왕님)” “애마리요(왕이시여)” 같은 말을 썼습니다.아이를 부를 때는 “아ᇹ이 마다(내 사랑이여, 꿀같은 내 자식아)”라 불렀습니다.이 모든 말들이 범어(산스크리트어) 속에서 그 뜻을 찾아볼 수 있다는 사실을저자는 나중에서야 깨달았습니다.‘쌔까마’는 범어로 “바람을 들어주는 존재, 연인”,‘마히시’는 “여왕”,‘애마리요’는 “왕이시여”,‘마다’는 **“사랑스러운 존재,.. 더보기
범어에서 찾은 우리말의 역사 2편 ( 2024.1.30 강연 ) 범어에서 찾은 우리말의 역사 2 (youtube.com)  우리말인 범어 어원에 대한 안내   애마리요 (아ᇹ이!) 마다 야마 구라 빠따 딱까리 게따 객담 구르마 쪼다 쓰리꾼 빠찜 샛꺼리 새참 후루니(시냇가) 가랏따(맷돌) 끄리누(화가) 까끄막 까끔(산) 노래 가(歌) 스승 사(師) 스님 목사 스승 게으르다 게헤 있느냐? 묵다(묵하=입) 깨댕이(깨봇쟁이, 깨복쟁이) 삼다 (친구를, 모시 삼베를) 사귀다 새끼 아새끼 아가 아브라함 나그네 다람쥐 쌧다 쌔부럿다 마무리 비로소 파수꾼 군인 꾼 품앗이 놉을 아스다 남새껏 놈새껏 (채소-푸성귀) 나비(고양이) 쌔까마 쌔깨미(고양이)... 이홍범 박사 「아시아 이상주의」 안내   ♣ 이 글은 아래와 같이인터넷 주소창과 카톡에 바로 입력하여 볼 수 있습니다.www... 더보기
범어에서 찾은 우리말의 역사 1편 ( 2024.1.30 강연 ) 범어(梵語)는 우리 선조(東夷族)의 말 - "사투리는 왕족 무사의 말이다" (youtube.com) 진영선 촬영 감독님이 1월 30일 강연 촬영 이후 자료를 편집 정리해주셨습니다. 감독님의 수고로움에 깊이 감사드립니다._()_ https://blog.naver.com/ctv21/223347778902 범어에서 찾은 우리말의 역사, 김석훈 강사, 호남 역사아카데미 1월 포럼,임승렬 사무국장, 국제 범어에서 찾은 우리말의 역사에 대한 강의가 우리말 범어사전 편저자인 김석훈 강사가 진행하는 강좌에 참... blog.naver.com 동영상 속 ppt를 더 선명하게 시청하시려면 톱니바퀴(설정) > 화질 > 1080p 선택하십시오. { 휴대폰에서 선택 방법 } 1. 동영상 화면 살짝 누름 2. 화면에 톱니바퀴 나.. 더보기
범어(梵語)에서 찾은 우리말의 역사 · 관음사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충장로46번길 7 (충장로4가) 아래 모든 말들은 최소 3500년~4000년전 범어(梵語 산스크리트어)이자 우리말입니다. 쌔부럿다 애마리요 까끔 · 까끄막(山) 느자구 깨댕이(깨봇쟁이) 몰골 간네 마누라 감프다 품앗이 잔나비 빠끔살이 · 빵깽이 (소꿉장난) 계집 게헤있느냐 게으르다 가마솥 아궁이 빈대떡 끼니 비빔밥 다람(쥐) 으뜸 비로소 마무리 파수꾼 나그네 묵다(먹다) 가다 자다 쉬다 삼베 써래 아프다 부르다 오지다 바지 잔디 단군(檀君) 고사(告祀) 군인(軍人) 신하(臣下) 가(歌) 자(子) 암(癌) 단(斷) 락(樂) 사(師) 시(時) 부(富) 옥(屋) 치(置) 파(破), ...... 범어(산스크트어)에서 집(家)을 나타내는 말들 중에 게하, 게헤가 있습니다. 게하.. 더보기